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기업분석&산업분석

매매일지 2023/05/04

by puhengchi 2023. 5. 4.
728x90
반응형

오늘은 국내 주식시장 관련해 별 다른 특이사항은 없었다.

 

매도도 계획대로 매수도 계획대로 진행하였고, 코스닥의 경우 상승마감하긴 하였으나 불안하지는 않다.

 

그렇지만 특별하지 않은 날이었다는 것은 아니다.

 

인생을 살다보면 나를 포함해 사람들은 본질이 아닌 겉으로 보이는 부분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다.

 

고상한 말로 하자면 시뮬라시옹, 시뮬라크르 혹은 이데아와 현상으로도 표현할 수 있겠다.

 

주식을 포함한 투자 혹은 투기의 본질은 무엇인가?

 

투자의 본질은 결국 자본을 투하하여, 투하된 자본보다 더 큰 자본을 얻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나의 사고방식을 돌아보면 투자의 본질보다는 나는 내재가치가 시장가치보다 싼 주식을 샀기 때문에 옳은 투자자이고, 수급에만 이끌려 내재가치가 시장가치보다 낮거나 평가할 수 없는 주식을 산 사람들은 올바르지 않은 투기꾼들이라는 사고방식에 갇혀있었다.

 

내 사고방식을 바꿔야겠다고 느끼게 된 것은 두가지였는데 첫째는 오늘 한국 주식시장의 바이오테마 상승이었고 두번째는 내가 생각하기로 실력이 있는 투자자의 코멘트 때문이었다.

 

첫번째 바이오 테마중에서도 HLB를 보면서 앞서 언급한 본질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는데, 장마감가는 2% 못되는 상승을 보였지만 장중에는 코스닥 상위 종목중에서 가장 높은 상승율을 보여주었다. 그런데 HLB는 사명부터 Hyundai Life Boat 즉 대형 상업용 선박에 구명보트를 납품하는 보트인 데다가 그 악명높은 진양곤씨가 회장으로 있는 곳이다. 그런데 투자자 수급을 보았을 때 굉장히 많은 외국인이 들어온 데다가(물론 검은머리 외국인일 수도 있다), 이 회사는 재무적으로 볼 때는 과거의 나로써는 내 자본을 투여할 생각조차 들지 않는 회사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이 회사는 아직까지 살아있고 상승과 하락을 반복중이다.

 

두번째의 사례는, 최근 미국 주식시장에서 중소형 Bio 회사를 묶어놓은 ETF를 매수하였는데, 매수한 당일 크게 상승하였다가 그 다음날 크게 하락하여 익절은 하였지만 급하게 팔아버렸다. 팔아버린 이유는 회사의 내재가치가 없다는 나의 판단 때문이었다. 하지만 바로 그 다음날 나를 비웃기라도 하듯이 하락한 폭을 되돌리는 것은 물론 최근 1달내 최고가로 마무리 되었다. 해당 종목으로 익절을 했기때문에 화가나거나 감정적으로 크게 동요한 것은 아니지만 머릿속에서 나의 사고와 현실세계의 부조화 즉 인지부조화가 발생하였다. 그래서 그 투자자에게 왜 해당 종목을 매수했는지에 물어보니 이유는 가격이 충분히 하락했으며, 위험하다고 생각이 들면 오히려 매수할 타이밍이라는 것이 이유였었다.

 

즉 주식은 내가 남들보다 더 합리적이라거나 올바른 사람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하는것이 아니다.

 

본질은 좋은 주식을 사려는 것이 아닌, 돈을 벌기 위한것

내 마음이 편하기 위해서 주식을 사는것이 아니라 돈을 벌기 위한것

그렇다면 올바른 행동은 돈을 벌 수 있는 주식을 사는 것이다.

 

물론 그렇다고 쓰레기 회사를 공격적으로 투자하자는 말은 아니니 오해 없길 바란다.

다만 본질에 대해 더 집중하는 습관을 들여보자는 것이다.

 

매도 매수 계획에 변경사항은 없다.

 

심리(황소, 곰, 탐욕에 찌든 돼지, 공포에 빠진 돼지)

- 나의 심리상태 : 

- 시장의 심리상태 : 국장 (공포 탐욕지수 5/4 오전 : 55.9 | 5/3 오전 : 56.9) 
                               미장 (공포 탐욕지수 5/3  : 58 | 5/2  : 52) 

 

- Fred M2 supply : 지속 하락추세(2023-04-25)

- Fred FED Asset : 지속 하락추세(2023-04-27)

 

- 예치금 & 신용 : 하락장이었던 5/3 예탁금/신용 비율이 감소함. 신용이 늘어난 것이 아니라 예탁금이 크게 줄어듬.

 

< 코스피 예치금/신용잔고 추이>   5/3 : 5.64  |  5/2 : 5.88

5/2

 

< 코스닥 예치금/신용잔고 추이>   5/3 : 5.19  |  5/2 : 5.46

5/3
5/2

 

<Kospi PER> : 13 (파랑 코스피지수(좌) | 빨강 코스피 PER(우), 5/3기준)

 

 매수 판단 

   1. 예금 대비 수익율이 높은가(배당 포함)

   2. 앞으로 시장의 주목을 받을 수 있는 종목인가(단기/중기/장기 판단 필수 | 뉴스검색)

   3. 지지하는 선이 있고 해당 선 부근인가

   4. 손절라인을 설정하고 들어갈 것인가?

 

매도 판단

   1. 단기로 추가 상승할 여지가 있는가?

   2. 매도 종목보다 더 매력적인 매수희망 종목이 있는가?
   3. 매수를 경정하게 된 재료가 소멸 혹은 악화 되었는가?

   4. 수익 예상 가격에 도달 했는가?
 
지수추종 매수 매도 판단

   1. 예수금/신용잔고 비율이 최근 6개월 추이의 저점(숏) 혹은 고점(롱)

       -> 저점이면서 다시하락(숏)

   2. 공포 탐욕지수가 60을 초과(숏)하거나 30 미만(롱)일 경우

       -> 55.9(중립)

   3. 코스피 PER이 10 미만일 경우 (강력한 롱, 달러 대비 주가지수도 비교 필요)

       단, PER이 높을 때는 시장에 거품이 끼어있다는 지표이므로 섣부르게 숏을 잡으면 안됨

       -> 13 초과(중립)

   4. 원/달러 환율이 상승(숏)하거나 하락(롱) 할 경우

       -> 1322.80 / 15.40원 하락(롱)

   5. 지수 ETF의 RSI 가 30 미만에서 상승 반전(롱)하거나 70미만에서 하락반전(숏) 할 경우

       -> 35.93으로 하락추세(숏/Kodex 코스피)

   6. 기본적으로 시장은 우상향 하므로 숏 포지션은 더욱 신중하게 진입 

       -> 롱 

   결론 : 2숏 / 2롱 / 2중립 

728x90
반응형

댓글